1. 개요

 - 스마트 팩토리는 자동화된 공장에 정보 통신 기술을 이용한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지능화시킨 공장
 - 생산 전략에 기반을 둔 제조 여건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공급망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 통합 관점의 QCD(Quality, Cost, Delivery) 및 제약 관리로 생산 운영을 신뢰성 있게 수행하는공장

2. 개념도

3. 특징
- 능동성 : 수동적 대상에서 능동적 대응을 수행
- 신뢰성 : 생산 작업 운영에 대한 관리의 신뢰 확보
- 지능성 : No Brain System 탈피(변화된 여건을 스스로 판단)
- 민첩성 : 생산 운영 체계로서의 시스템 성능 보장
- 연계성 : 생산관련 참조 데이터 영역의 확대

4. 보급단계

단계

설명

1단계

일부공정 정보화

2단계

IT기반 생산관리

3단계

IT,SW기반 실시간 통합제어

4단계

IoT, CPS(사이버물리시스템)기반 맞춤형 유연생산

5.기술요소
-IIOT(Industrial IOT)
: 주변 사물들이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수집, 공유하는 지능형 네트워크 기술 환경
-CPS (Cyber Physical System) : 물리적인 시스템과 사이버시스템을 통합시킨 제어 기술로 시뮬레이션등이 가능하여 공장 운영 효율성 향상
-빅데이터 : 공장내부의 IIOT 데이터와 공장 외부로 부터 수집되는 대양한 형태의 대용량의 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공장에서 수집한 빅데이터를 수집, 분석, 처리
-인공지능 : 빅데이터를 통해 도출된 자료를 통해 신속하고 완벽한 의사 결정 가능
-스마트머신 : 기존자동화 머신에서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정보를 체크하여 사전 대비
-3G 프린팅 : 공장에 접목하여 여러 제품들을 한번에 생산 가능하게 함
-AR/VR : 비숙련자들도 빠른 판단과 선택을 내릴수 있게 도움
-5G : 각종 설비 등이 생산한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한 연결망을 통해 수집

6.기대효과
-설계, 생산, 유통 등 제조 전 과정을 ICT 로 통합
-가치사슬 전체가 하나의 공장처럼 실시간 연동, 통합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 생산
-생산성 향상, 에너지 절감, 스마트공장 연관산업 신수요 창출

7.활성화 방안
-가계, 기업, 정부, 국가를 총망라한 각 경제주체와 국가 상호 간의 협업과 조정 그리고 타협이 뒷받침되어야 함
-스마트 팩토리의 발전을 가속화시킬 인공지능 기술이 어느때 보다 필요하며 전문가 양성, 차세대 플랫폼 구축, 국가적인 인프라 확충, 기업과 연구소 등의 핵심 신기술 확보 필요

스마트팩토리.pdf
0.77MB

반응형

[답안 키워드] DSRC, WAVE, C-V2X,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 차량과 인프라연결(V2I), 차량간 연결(V2V), 차량과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V2D), 차량과 네트워크 연결(V2N), 차량과 보행자 인지(V2P), 자율주행레벨 5단계, OTA

 

1. 커넥티드 카 개요
 -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미래형 자동차에 대한 개념
 -
V2X(Vehicle to X) 기술들을 기반으로 차량과 차량, 차량과 인프라와 통신하며 자율주행 기능과 교통 정보 등을 제공

2. V2X 개념
    - 차량이 유무선망을 통해 다른 차량 및 도로 등 인프라가 구축된 사물과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
    - V2V(Vehicle to Vehicle),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V2N(Vehicle to Nomadic Device), V2P(Vehicle to Pedestrian)을 총칭

3. 커넥티드 카 관련 통신 기술

    가. DSRC(Dedo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s)
 
     - 단거리 전용 통신으로 전송거리가 짧고 데이터 전송량의 한계
       - 초기 DSRC 기술은 통행요금 지불 시스템 등으로 사용

   나. WAVE(IEEE802.11p, Wireless Access in Vehicle Environments) 
       -
무선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기술표준에 '처령 이동환경에서의 무선 액세스(WAVE)를 추가한 기술
       - DSRC기술 확장하여 200km/h 주행속도에서 거리 1km까지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기술 표준
       -  5.9GHz 대역을 사용하며 27Mbps의 데이터 전송 가능
       - 2000년 초반부터 기술 시험 및 검증을 통해 안정성 획득

   다. C-V2X(Celluler Vehiacle to X)
       - 이동통신망을 사용한 V2X 기술로 LTE 이동통신망에서 시작하였으며 현재 5G-V2X 기술로 발전
       -  'LTE  Direct(PC5)' 기술기반 서비스와 LTE 망으로 제공되는 'LTE Broadcast'(Uu) 기술기반 서비스로 분류
       - 'LTE Direct' 방식이 5.9GHz 대역에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얹은 기술을 활용함에 따라 DSRC 기술과 경쟁(주파수 간섭)
       - 속도와 도달범위 등 기능성과 서비스 확장성 측면에서 C-V2X 성능이 더 우월하다는 입장이 강세
       - 기존 이동통신망을 활용하여 구축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장점

  라. DSRC와 C-V2X의 기술 비교   

구분 WAVE LTE C-V2X 5G C-V2X
개요 무선랜기술을 차량통신에 적합하도록 커버리지, 접속시간 개선 셀룰러 이동통신 기반 차량용 통신
차량통신에 적합하도록 직접통신 및 자원할당 방식 개선
표준화단체 IEEE 3GPP
대역폭 27Mbps 75Mbps 20Gbps
무선지연 100ms 미만 100ms 미만 10ms
기지국 구축 별도 기지국 필요 LTE 기지국 활용 5G 기지국 활용
커버리지 1km 미만 수 km 수 km
이동성 지원 시속 200km 시속 160km 시속 500km
장점 기술표준완료, 
오랜연구 안정성
커버리지, 전송속도, 지연속도 주요성능 우수
단점 커버리지 및 확장성 5G C-V2X 표준화 시점
주파수 5.9GHz 5.9GHz 및 상용주파수

 

 4. 고려 사항
     
- 보안 이슈 : 통신에 의존하는 만큼 매우 중요, 국가 단위의 보안 인증체계 마련 필요, C-ITS 검증 인증체계와 연계
      - 네트워크 이슈 : SDN, 엣지컴퓨팅 기술을 접목하여 Latency와 자가망 가용시간 향상으로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
      - 정밀도로지도 확보 : 차량 센서를 통한 제어는 한계가 있으므로 도로, 표지판 등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정밀도로지도 확충
      - 통신 규격 이슈 : C-V2X 또는 DSRC방식의 국내 V2X 통신 규격 결정 필요
      - 인증 체계 마련 : 주기적인 차량, 단말기의 정상 통신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체계 필요
      -
주파수 간섭 : 자율주행 포함 미래형 교통체계 마련을 위한 채널 배분 요구됨

 

[기타] 자율 주행 차
1. 개요
   -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지 않고 차량이 주변환경 및 상태를 인식, 판단, 제어하여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차량 스스로 주행하는 기술

2. 자율주행차 기술

(1) 인식
Radar : 전파를 물체에 쏘고 수신하기 까지의 시간(장거리 가능, 작은물체 어려움)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단계빛 (광 펄스)을 물체에 쏘고 수신하기까지 시간을 측정하여 물체의 형상을 추측하는 기술
GPS : 차량의 위치 파악 센서(인공위성들로부터 전파를 받아 위치 파악)
초음파 센서 : 근접거리의 사물 측정, 주의의 차량 또는 사람 감지
(2) 판단 :자율 주행 기술에서 가장 핵심은 주변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판단하는 기술, 딥러닝, 머신러닝 기반 인공지능으로 높은 판단수준 기대
(3) 제어 : 차속조절, 조향, 제동 등 인식하고 판단한대로 차량 이동

3. 자율주행 단계

반응형

※ 삼성전자의 지원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

 

SmartThings를 인수하여 본격적인 IOT에 진입한 삼성에서도 드디어 스마트 홈 스피커를 출시합니다.

SmartThings Platform으로 IOT 환경을 구축한 저에게도

삼성의 베타 테스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남들보다 미리 Galaxy Home Mini를 써 볼 수 있었습니다.

박스는 심플하며 구성품은 본체와 충전기가 들어 있습니다.

우선 전원을 연결하면 음성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안내해줍니다.

먼저. 전원을 연결한 후에 스마트폰에서 SmartThings 어플을 실행해 줍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Galaxy Home Mini 연결 창이 뜹니다.

그다음은 안내하는 대로 따라가다 보면 연결이 됩니다. 

연결이 완료되면 Galaxy Home mini 카드가 추가됩니다.

이 카드를 선택 후에 들어가면 Galaxy Home Mini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모든 캡슐에는 Galaxy Home Mini가 지원하는 여러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는데요

아래와 같이 여러 서비스가 있습니다.

계속 추가도 된다고 하니 갤럭시 홈 미니로 할 수 있는 서비스가 늘어나겠네요. 

 

저는 IR 리모컨 기능을 잘 쓰고 있는데요.

리모컨이 항상 어딨는지 몰라서 그런지...

설정하는 법은 메인 창에서 IR 리모컨 메뉴를 선택해 줍니다.

디바이스 추가를 누르기 전에 

Galaxy Home Mini를 제어하려는 장치와 일직선이 보이기 위해 개방된 장소에 설치를 하셔야 합니다.

TV를 제어하는 것이므로 디바이스에서 TV를 선택합니다.

그다음 TV 브랜드를 고르고 다음을 누르면

TV에 맞는 IR 신호를 전송하는지 테스트하기 위해서 전원 버튼이 나옵니다.

전원 1을 누르면 TV가 켜지는지 테스는 하는 건데. 

제대로 동작한다면 작동함을 눌러서 다음 단계로 가시면 되고요. 작동 안 한다면 전원 2로 테스트하시면 됩니다.

저는 한 번에 작동해서 "작동함"을 눌러서 다음 단계로 진행했습니다.

그다음에 위치와 TV 공급자를 선택해 주시고요. 만약 셋톱이 있다고 하면 셋톱도 골라주시면 돼요.

TV 공급자를 선택하는 이유는 "EBS 틀어줘"라고 했는데 TV 공급자마다 채널번호가 달라서 그렇습니다.

그다음에는 TV 이름을 넣어주시면 되는데요. 거실 TV도 있고 안방 TV도 있다면 이름을 달리해서 적어주시면 좋아요.

IR을 추가하시면 SmarThings에 IR 카드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이 카드를 선택해서 들어가시면 TV 리모컨 같은 메뉴가 보이는데 이걸 이용하셔도 TV 채널을 바꾸실 수 있고

"하이 빅스비 EBS 틀어줘" 이렇게 하셔도 됩니다.

 

다음 글에서는 스마트 홈 스피커를 활용한 다른 기능을 소개해 드릴게요.

 

총평

.. 음향이 진짜 좋은데 어떻게 보여주지.. AKG 최고.. 

반응형



[대한항공으로 유럽을 예약했더니 홍콩과 일본 편도 티켓이 공짜로 생기는 마법]


삼성 포인트 적금을 시작한 사람들이라면

이 포인트를 어떻게 써야 할지를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다


오늘은 기초 레벨

삼성포인트와 카드로 모은 대한항공 마일리지를 알차게 사용하는 대한항공 편도신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편도 신공 이란....

편도 신공이라는 것은 가려는 목적지 앞, 뒤로 목적지를 하나 더 붙여서 마일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2가지면 유념하시면 된다.


첫번째  같은 마일리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자

[기존]

A. 인천출발 - 유럽도착(파리)

B.  유럽출발(독일) - 인천도착  비지니스 왕복 항공권이 125000마일리지 소요

[효율적으로 변경]

A. 동북아 출발(홍콩) - 인천도착

B. 인천출발 - 유럽도착(파리)

C. 유럽출발 - 인천도착

D. 인천출발 - 동북아 도착(일본) 비지니스 왕복 항공권이 125000마일리지 소요


아시겠죠? 

같은 마일리지인데 홍콩과 일본을 각각 가는 편도 티켓이 추가로 나온다.


두번째  "도중체류"라는걸 이용해서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여정을 분리

경유는 들어본것 같은데 도중체류라는 말은 생소하다.

대한항공에 들어가시면 좀 더 자세히 설명이 나와 있는데


"경유지에서 24시간내 체류시 경유로, 

24시간 이상 체류시 도중 체류로 간주합니다"

https://kr.koreanair.com/korea/ko/skypass/flight-award/round-the-world-bonus/rtw-terms-conditions/conditions-detail.html


즉 24시간 이상 인천에서 체류가 가능하다는 이야기 이다.

이걸 이용해서 아래와 같이 가능하다.

A. 홍콩은 이번년도 겨울에 다녀오고

B. 유럽은 내년 여름에 가고

C. 일본은 내년 겨울에 갑니다

2. 편도 신공 장점

그러면 편도 신공을 이용하는 장점은 뭐가 있을까?

A. 최소한의 마일로 동북아 티켓을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올해 겨울에 홍콩 여행을 계획하고 내년 여름에는 유럽이나 미주를. 내년 가을에는 일본 온천 여행을 계획 했던 분을 예를 들면 각각 티켓을 발권 했다면 마일리지가 엄청 필요 했을 것이다.

하지만.......  

편도 신공을 활용하시면 아래 2개 편도 티켓을 공짜로 가져가 실 수 있다.

홍콩출발 - 인천도착

인천출발 - 일본도착  



B. 성수기 마일 추가 차감을 피할 수 있다.

여름휴가로 여행을 떠나신다면 성수기에 마일리지로 발권을 하실텐데

이 기간에는 마일리지 추가 50% 공제로 인해서 비 성수기에 비해서 많은 마일리지가 필요한다.

하지만 편도 신공을 이용하신다면 한국의 성수기에도 비성수기 마일리지 차감으로 여행을 다녀오실 수 있다.


대한항공 성수기 기간을 예를 들자면

편도 신공의 티켓은 총 2개

티켓1) 동북아(홍콩) - 인천 - 유럽(프랑스)

티켓2) 유럽(독일) - 인천 - 동북아(일본)

 

성수기 적용은 출발하는 출발지를 기준으로 매겨진다.


티켓 1에서는 홍콩을 2018년 비수기인 12.24일날 출발했다면

인천에서 프랑스로 가는 날짜는 2019년 성수기인 8.24일날 출발하더라도 비수기로 인정받는겁니다.

 

티켓 2에서는 출발지가 유럽이다. 

독일에서 인천으로 복귀할때 비수기에 출발 했다면 인천에서 일본으로 가는 티켓은 언제든지 비수기로 인정된다


그럼 우리는 한국의 극 성수기인 8월달에도 비 성수기 마일차감으로 유럽을 다녀올 수 있다. :)

 

3. 결론

효율적으로 여행을 다녀올 수 있다.

가보자..

발권하면서 알게된 유의 사항들은 글이 너무 길어 다음 포스팅에서 연재.


반응형

※ 직접 구매하여 작성한 후기 입니다

[IOT] - HA(Home Assistant) Synology Docker 설치기

[IOT] - HA(Home Assistant) HTTPS 외부 접속 설정

 

Home Assistant 구성을 시작하게된 계기는 

SmartThings로 연결된 여러장치를 Home Assistant에 바로 옮길 수 있다는 장점이었다.

 

SmartThings에 연결해서 잘 사용하는데 왜 HA를 설치를 필요하냐고 물으신다면.

단적으로 HA는 Samsung만이 아닌 LG가전도 연결할 수도 있고 UI도 꾸밀 수 있고.

할 수 있는 일이 많아진다.

 

SmartThings-HA 연결은 Mqtt로 비공식적으로 연동은 되었지만.

19년 2월에 릴리즈된 HA 0.87 버전에서는 공식 연동이 지원된다.

https://www.home-assistant.io/components/#version/0.87

연결을 설정하기 전에 위의 글을 이용하여 

HA를 설치하고 HTTPS 연결이 전제되어야 한다

HA-SmartThings 설치(HA)

이제 SmartThings와 Home Assistant를 연결해보자.

Home Assistant의 https 접속설정이 되었으면 이제 SmartThings component 설정이 가능하다.

 

HA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1. HA에 접속해서 설정-> 통합 구성요소로 들어가자.

Reverse Proxy로 연결했으면 http://내부NAS IP:8123으로 접속.

왼쪽 상단을 클릭하고 설정으로 들어가면 된다.

설정에서 통합 구성 요소를 클릭하다.   

2. 통합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SmartThings가 있는데 거기서 설정하기를 클릭하자.

3. Enter Personal Access Token 화면이 나오면 SmartThings의 개인 토큰을 입력해야 하는데 

Personal Access Token을 클릭하면 개인 토큰을 받는 페이지가 나온다.

4. 로그인을 해주자.

5. 새 토큰 만들기를 클릭하자.

6. 새 권한 토큰을 발급 받기 위해서는

토큰 이름을 입력하고 관련 권한을 설정해주면 되는데 권한 범위는 

왠만하면 다 클릭해주자.(아래 그림에서는 누락된 장치 / 설치된 앱도 다 클릭해주자)

그 다음 토큰 만들기를 클릭

7. 토큰이 만들어 졌으면 "토큰 복사"를 클릭해서 HA로 붙여 넣는다.

8. 토큰을 붙여넣고 summit을 클릭하면 HA에서 설정을 끝났다.

 

HA-SmartThings 설치(SmartThings App)

Home Assistant 설정을 끝낸 이후에는 SmartThings App에서 access를 허가해줘야 한다.

9. SmarThings Classic으로 접속해서 My Apps -> Home Assistant를 선택

10. Home Assistant로 입력해주고 "Done"를 클릭

11. "Allow"로 Home Assistant가 SmartThings에 접속하는 권한을 승인해준다.

12. Home Assistant로 가보면 아래와 같은 Success!가 떠 있다.

13. 연결 완료!!

연결이 완료되어 SmarThings의 센서/ TV /선풍기들이 모두다 HA로 들어와 있다.

물론 on off도 가능하다.

결론

가족들에게 SmartThings 어플 대신 HA를 써도 된다고 설명해주려 했으나.

구글홈에만 말하는 가족들에게는.. 그냥 똑같다..

나중에 LG 가전 붙이면 좀 티가 나겠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