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접 구매하여 작성한 후기 입니다

[IOT] - Synology 718+ NAS 개봉기

NAS를 사서 해보고 싶었던docker 위에 여러 플러그인을 올려서 돌리는 것인데

때마침 Home Assistant가 SmartThings를 공식 Component로 지원을 하기 시작했다는 기사를 보고 

Home Assistant를 설치하기로 했다.


Home Assistant 설치

Home Assistant에 Synology NAS 설치법은 자세히 나와 있다

https://www.home-assistant.io/docs/installation/docker#synology-nas

다만 다른 설치법도 가득 가득해서 관련된 부분만 따로 캡처해서 가져왔다.


Docker는 이미 Synology에 깔려 있다는 가정하에 Docker를 실행한다


1. 레지스트리에서 home-assistant를 검색하고 "homeassistant/home-assistant"를 클릭한후 "다운로드"를 클릭한다.

2. 다운이 완료되기에는 시간이 좀 걸리는데 용량이 좀 크긴 하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이미지" Tab으로 가면 다운로드된 파일이 있는데 선택 후에 "실행"을 누르면 컨테이너가 뜬다.

3. 고급 설정을 클릭한다

4. 고급 설정에서는 "자동 재시작 활성화"를 선택한다

5. 볼륨에서는 설정파일이 저장된 경로를 선택하는데 "폴더 추가"를 클릭하여 폴더를 선택한다.

6. 미리 공유폴더에 Homeassistant를 만들고 그 안에 config 폴더를 추가 해 놓았다.

   config 폴더를 선택해준다. (대소문자를 구분하니 폴더를 왠만하면 소문자로 만드는게 좋다)

7. 마운트 경로는 "/config"를 입력해준다. 소문자이며 공백없이 입력해주면 된다.

8. 네트워크 Tab에서는 "Docker 호스트와 동일한 네트워크 사용"을 선택해준다.

9. 환경 Tab에서 는 Home Assistant가 정확한 시간을 표기해 주도록 "+"를 클릭하고 변수에는 TZ, 값에서는 Asia/Seoul를 입력해준다. 

 해당하는 timezone은 아래 주소에서 찾을 수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tz_database_time_zones

10. "적용"을 클릭할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을 볼 수 있는데. 이상 없으니 "적용"을 한번 더 클릭하자

11. 컨테이터 설정은 끝났고 사용자가 지정한 폴더를 들어가면 Home-assistant 설정 파일이 있는데 그 중에서 

    configuration.yaml 파일과 secrets.yaml파일을 수정하도록 하자.

   수정하는 방법은 File Station에서 직접 수정해도 되지만 해당 경로를 Samba로 접속해서 Notepad++로 수정을 하자.

Notepad++ 사용하여 HA yaml파일 수정

Home-assistant의 yaml 파일은 띄어쓰기가 가장 중요한데. 한 칸의 띄어쓰기 때문에 접속이 안될 수도 있으니

아래 프로그램(Notepad++)을 다운 받고 설정해서 쓰도록 하자.

https://notepad-plus-plus.org/download/v7.6.3.html 


설정은 아래를 보고 하자

https://community.home-assistant.io/t/tips-for-editing-yaml-with-notepad/4295


Notepad++ 프로그램에서 설정 -> 스타일 설정에서 YAML을 선택하고 사용자 확장자에 "yaml"을 적어주고 적용

Notepad++ 프로그램에서 설정-> 기본 설정의 언어 메뉴서 yaml 선택하고 Tab Size를 2로 바꿔주자


HA configuration 파일 수정

12. 이제 준비가 되었으니 아래 경로에 있는 두개의 파일을 열자

13. 그 다음 Configuration에서는 빨간색 네모를 쳐진 2가지를 추가한다.

tab을 누르면 2칸씩 띄워지는데 위치를 잘 보고 추가하자. 

homeassisstant: 밑에 auth_providers: 밑에 - type: legacy_api_password  (띄우기 정말 중요)

   위에 세팅하는건 '사용자 비밀번호만으로 로그인을 제한한다'는 뜻이다

http: 밑에 api_password: !secret api_password 추가

  위의 명령어는 'secrets.yaml의 파일안의 비밀번호를 http로 접속하는 비번으로 쓰겠다'는 뜻이다.

14. Secrets.yami에서는 로그인 비밀번호로 쓸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xxxxx에 쓸 비밀번호를 입력하다.

15. 저장한 이후에 Docker로 다시 돌아가 homeassistant를 재구동 해주면 되는데 

    재구동 하는 방법은 여러방법이 있으나 비디오 형식 Tab에서 해당 빨간색 박스를 클릭하면 OFF되었다가 다시 클릭하면 ON이 된다.


16. 이제 그럼 접속해보자.

Homeassistant의 port는 8123번이다. 아래 주소를 크롬에서 입력하면 Homeassistant가 뜰것이다.

http://NAS주소:8123


secrets.yaml에 입력한 비번을 입력하면 로그인이 된다.

설치는 이걸로 끝이지만 이제는 외부 접속도 추가하고 UI도 추가하고 SmartThings도 연결하자.

결론

아 끝나긴 했는데 남은게 더 많은...

언제 세팅 다 하려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