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스마트 팩토리는 자동화된 공장에 정보 통신 기술을 이용한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지능화시킨 공장
 - 생산 전략에 기반을 둔 제조 여건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공급망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 통합 관점의 QCD(Quality, Cost, Delivery) 및 제약 관리로 생산 운영을 신뢰성 있게 수행하는공장

2. 개념도

3. 특징
- 능동성 : 수동적 대상에서 능동적 대응을 수행
- 신뢰성 : 생산 작업 운영에 대한 관리의 신뢰 확보
- 지능성 : No Brain System 탈피(변화된 여건을 스스로 판단)
- 민첩성 : 생산 운영 체계로서의 시스템 성능 보장
- 연계성 : 생산관련 참조 데이터 영역의 확대

4. 보급단계

단계

설명

1단계

일부공정 정보화

2단계

IT기반 생산관리

3단계

IT,SW기반 실시간 통합제어

4단계

IoT, CPS(사이버물리시스템)기반 맞춤형 유연생산

5.기술요소
-IIOT(Industrial IOT)
: 주변 사물들이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수집, 공유하는 지능형 네트워크 기술 환경
-CPS (Cyber Physical System) : 물리적인 시스템과 사이버시스템을 통합시킨 제어 기술로 시뮬레이션등이 가능하여 공장 운영 효율성 향상
-빅데이터 : 공장내부의 IIOT 데이터와 공장 외부로 부터 수집되는 대양한 형태의 대용량의 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공장에서 수집한 빅데이터를 수집, 분석, 처리
-인공지능 : 빅데이터를 통해 도출된 자료를 통해 신속하고 완벽한 의사 결정 가능
-스마트머신 : 기존자동화 머신에서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정보를 체크하여 사전 대비
-3G 프린팅 : 공장에 접목하여 여러 제품들을 한번에 생산 가능하게 함
-AR/VR : 비숙련자들도 빠른 판단과 선택을 내릴수 있게 도움
-5G : 각종 설비 등이 생산한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한 연결망을 통해 수집

6.기대효과
-설계, 생산, 유통 등 제조 전 과정을 ICT 로 통합
-가치사슬 전체가 하나의 공장처럼 실시간 연동, 통합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 생산
-생산성 향상, 에너지 절감, 스마트공장 연관산업 신수요 창출

7.활성화 방안
-가계, 기업, 정부, 국가를 총망라한 각 경제주체와 국가 상호 간의 협업과 조정 그리고 타협이 뒷받침되어야 함
-스마트 팩토리의 발전을 가속화시킬 인공지능 기술이 어느때 보다 필요하며 전문가 양성, 차세대 플랫폼 구축, 국가적인 인프라 확충, 기업과 연구소 등의 핵심 신기술 확보 필요

스마트팩토리.pdf
0.77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