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지능형 CCTV란 보안 카메라가 영상 데이터를 영상분석 솔루션으로 행동과 침입 등을 분석하고 자동으로 이상행위를 탐지해 규칙에 따라 배회, 싸움, 방화 등 특정상황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처리하는 시스템
- 기존 CCTV 통합관제센터의 사람의 눈으로 놓칠수 있
는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
장비 중심 제어와 관제에서 벗어나 클라우드 IoT 등 다양한 기술과 연계해
상선 운항 상황에서 CCTV, 시설물, 교육, 현장 응급 프로토콜을 1개의 통합 플랫폼으로 관제 하고 음성, 제스처등의 방법을 제어 및 통제실과 현장의 비디오 컨퍼런싱 및 원도우 기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 하는 인프라 서비스
기존과의 비교
가.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
- CCTV 영상에 출현하는 객체에 대해 분석하여 객체의 침입, 객체의 이동, 객체의 숫자 등
객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시스템
- CCTV가 모니터링 해주는 덕분에 적은 인원으로도 감시체제를 마련할 수 있고
- 어떠한 환경에서도 영상을 분석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어 매우 넓은 범위에서 모니터링이 가능
- 저장 보관된 영상 빅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색
- 실시간 분석과 이슈 발생시 알람 발생 및 유관기관에 연락
나. 클라우드 인프라 시스템
- 급격히 늘어나는 데이터를 신속히 분석하고 저장할 서버와 스토리지가 필요.
- 스토리지는 성능, 확장성, 안정성이 필수적임.
- 성능 : 고속 데이터에 대한 빠른 억세스 요구
- 확장성 : 데이터 증가에 따른 유연한 용량증설 요구.
- 안정성 : 콘트롤러를 포함한 주요기능의 이중화 요구.
- RAID 레벨, 전원 장애시 캐쉬 데 이터보호
- 언제 어디서는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인프라 구성
다. IP화에 따른 Wall 제어 기술
- 분활화면의 결합기능
- 초 고해상도 지원 : 모니터 수량에 따라 비례한 자동 해상도.
- 컨텐츠 제어 : 위치, 크기, 투명성, 회전성, 복사, 애니메이션, 화면저장, Text삽입.
- CCTV에서 HD급 GIS운영 Server 표출까지 요구
- 근무자별, 감시화면별 분류 및 저장 기능.
- 여러 위치에서 동일한 화면반복 복사 기능.
- 200대 이상의 Wall Monitor를 한 대의 모니터처럼 운영.
- 안정적이고 끊김없는 완성도 높은 시스템 환경.
라. 통합 상황판의 기술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 정보전달력 : 인쇄물 대비 동적효과 및 즉시성 요구, 전달 메시지의 인식높고 명확성 요구
- 효율성 : 기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의 재사용, 정보의 고급화된 이미지, 정보를 원격지 신속배 포, 영상신호의 무감쇄 요구
- 유용성 : 이동, 재설치 유용 및 비용절감
스마트모니터링기술
활용분야
사회 안전
어린이 폭행, 학대 인지 등 안심 어린이집 서비스, 범죄, 독거노인 친구 서비스, 학교 폭력 감지를 통한 범죄 예방 서비스, 자살방지 서비스
민간
www.realhub.co.kr/bbs/board.php?bo_table=news_press&wr_id=117&page=2
차세대 통합관제센터 구축 서둘러야 [전자신문 11.17] > news_press | (주)리얼허브
네트워크 환경과 디지털 영상 전송 기술 발전으로 폐쇄회로(CC)TV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CCTV 카메라는 마치 대중화된 가전제품처럼 우리 ��
www.realhub.co.kr
빅데이터, IoT, GIS/LBS 솔루션을 통해 수집되는 각종 위치정보, 교통정보, CCTV 영상정보를 가공하여 고객이 원하는 현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가시화하여 관제하는 미디어 기반의 통합관제솔루션 입니다
www.news.mt.co.kr/mtview.php?no=2019122414430537851
LBS(Location Based System) 및 공간정보 기술 기반의 방범용 CCTV 시스템이 ITS(Intelligent Traffic System)와 연계되고, 5G 이동통신 시스템 기술개발이 시작되면서 CCTV 통합관제시스템도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아울러 CCTV 통합관제시스템에 연결 가능한 다양한 클라이언트 기기(스마트미디어 기기)들이 대중화되면서 아날로그 관제시스템을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기반의 영상감지 시스템으로 교체하는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CCTV 통합관제시스템은 점차 지능화를 추구하면서 빠르게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10]. 지능형 영상분석 시스템이 영상보안 분야의 기술 트렌드로 인식되면서 영상보안 제품 및 서비스(솔루션 포함)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국내 CCTV 시스템 기술(설계-제조-설치-운용-사후관리 등)은 글로벌 수준의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DVR 기술력은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지능형 시스템으로의 교체 요구에 대한 수요 니즈를 완전히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변화 감지, 위치 측정, 대상 추적 및 행위분석 등 지능적인 기능들은 구현하고 있으나, 각 지자체의 통합관제센터에 적용하기에는 아직은 성능이 미흡한 상황이다. 국내 CCTV 관련 전후방(전방위: 하드웨어/소프트웨어/솔루션 등, 후방위: 지능형 영상분석/영상보안 등) 기술은 카메라업체, VMS(Video Management Solutions)업체, CCTV_SI(System Integration)업체 등 다양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지능형 CCTV 전후방 기술력은 글로벌 메이저 기업들이 절대 강세를 보이고 있어 대부분 외산 기술을 도입·운용하고 있으며, 일부 국내 기업이 자체 기술력을 확보해가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지능형 영상인식 솔루션이 영상감시 솔루션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어 관련 핵심(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정보통신 Topic > .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T Thread Protocol (0) | 2022.02.01 |
---|---|
IOT matter 표준 (1) | 2022.02.01 |
디지털 트윈(1.정의, 역할 2. 구성, 기술 3. 구축시 고려사항) (0) | 2020.04.20 |
스마트팩토리 (1) | 2020.03.23 |
커넥티드카 관련 기술(DSRC, C-V2X, WAVE) (0) | 2020.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