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디지털 트윈이란 가상의 세계에서 현실을 반영한 모델을 구현하여 실제 세계와 가상의 세계를 실시간으로 통합하는 것
- '생성-전송-취합-분석-이해-실행-절차'로 이루어짐
2. 개념도
3. 디지털 트윈의 역할
- 스마트시티일땐(도시계획,운영,예측)
구분 | 역할 | 설명 |
현실 |
시각화 | 현실 세계를 3D 모형으로 시각화 |
분석 |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
모니터링 | 현실세계를 모형으로 모니터링 | |
미래 |
예측 |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 모습 예측 |
대안발굴 | 문제를 발굴하고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대안 발굴 | |
시뮬레이션 | 개선 모델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 및 점검 | |
적용,개선 | 현실세계에 반영, 개선 |
4. 구성도 및 기술
가. 구성도
- DTS 452는 '18년 국토연구원에서 발표한 DTS(Digital Twin Space) 구축 전략
나. 구축 기술
구분 | 기술 | 설명 |
트윈 구현 기술 | 모델링 | 현실의 실제 모델을 랜더링을 통해 가상 세계 구현 |
AR/VR | 실제 물리적 환경과 동시에 가상 세계의 트윈 인식 지원 | |
데이터 통신 기술 | IOT | 물리적 객체의 실시간 데이터수집, 물리&가상 객체간 양방향전송 촉진 |
5G | 실시간 정보 전송 능력으로 디지털 트윈 반응성 향상 | |
데이터 수집 분석기술 |
AI | 새로운 데이터로부터 학습을 촉진하고 예측 모델 지속적 향상 |
빅데이터 | 패턴을 유추 및 유용한 정보 발굴을 위한 양적 데이터 제공 | |
클라우드 | 센서, 플랫폼등에서 온 데이터를 담아 유연성, 확장성 지원 | |
제어기술 | CPS | 가상 물리시스템으로 제어 명령 생성 |
5. 활용
산업 | 활용 | |
스마트 팩토리 | 제품출시, 운영개선, 불량감소, 새로운 사업모델 개발 | |
스마트시티 | 각 분야의 현황 모니터링, 도시계획 및 운영 효율화 | |
건강/의료 | 환자의 건강 상태 파악, 상태 변화 예측 | |
자동차/항공 | 제조 현장의 효율화 비용절감, 생산장비 관리. 주행기술 완성도(가상공간 움직임 구현 및 테스트) | |
에너지 | 시설 설계 최적화, 관리와 운영 효율화, 소비 최적화 |
6. 구축시 고려사항
디지털 트윈 프레임워크, 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개방 확대
디지털 트윈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민,관 협력 파트너쉽확충
기술간 융합을 통해 혁신 촉발 지원 강화
출처 : http://itwiki.kr/w/DTS_452
반응형
'정보통신 Topic > .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T Thread Protocol (0) | 2022.02.01 |
---|---|
IOT matter 표준 (1) | 2022.02.01 |
지능형 CCTV, 통합관제센터 (0) | 2020.05.12 |
스마트팩토리 (1) | 2020.03.23 |
커넥티드카 관련 기술(DSRC, C-V2X, WAVE) (0) | 2020.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