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VVC는 고해상도(8K)와 가상현실(VR) 영상 대응에 최적화된 차세대 동영상 압축 기술임

2. 다용도 비디오 부호화(VVC)
 가. 인코더 블록도


 나. 요소기술
(1)다양한 변환 커널 : DCT-2, DST-7 및 DCT-8 변환 커널 사용
(2)이차 변환 : 주변환(DST-7, DCT-8) 이후 이차변환 수행
(3) SBT(Sub-Block Transform) 변환 : 인터 예측 블록에서 블록의 일부만을 변환
(4) 가변블록 사이즈 : 128 X 128 가변화 블록 사용(QTBT, TT 구조)

예측모드
분할 블록 구조 : QTBT(QuadTree Binary Tree), TT(Ternary Tree) 유연하게 예측 잔차신호 발생 및 처리
적응적 루프 필터 : ALF(Adaptive Loop Filter)
움직직임 예측 : AMP(Affine Motion Prediction)
디코더 움직임 보정 : DMVR(Decoder-side Motion Vector)

 다. 특징
    - 고효율 압축 지원(HEVC 대비 50% 효율)
    - 가로 4천 화소 이상의 360도 동영상 및 VR 압축 지원
    - 480p ~ 8K 이상 해상도 지원
    - High Dynamic Range(최고 10,000nit) 지원

3. 고해상도 비디오 코덱 비교
구분        VVC HEVC
압축효율  2배   1배(기준)
인코딩속도 6.5배, 1배
디코딩속도 1.5배, 1배
해상도 4K, 8K
표준 MPEG-I Part 3 MPEG-H Part 2 

VCC AV1
구분
지원해상도
라인선스 유료/무료
HEVC대비 압축효율 2배, 
인코딩 시간 6.5배, 4배
디코딩 시간 1.5배, 0.9배
표준화 JVET AOMedia


4. 맺음말
- 고효율 압축 처리를 위한 고성능 프로세서, 전용 칩 소요
- 특허나 라이선스 관련 이슈로 H.266 보급 확산은 지켜봐야..

https://bitmovin.com/compression-standards-vvc-2020/

 

State of Compression Standards 2020 - Versatile Video Coding (VVC)

2020 is the year of VVC as it's entering the final stages of standardization. As VVC enters the Committee Draft, we review what VVC is and some it's uses

bitmovin.com

https://www.programmersought.com/article/1598771416/

 

H.266/VVC-QT/BT/TT partition structure - Programmer Sought

VVC coding framework Like previous standards, VVC uses a block-based hybrid coding structure. As shown below: implemented the following changes in VTM 3.0. CTU Partitioning Intra prediction 67 intra mode with wide angles mode extension Block size and mode

www.programmersought.com

https://www.slideshare.net/bitmovin/bitmovin-av1vvc-presentationstreaming-media-east-by-christian-feldmann

반응형

'정보통신 Topic > . 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CBS(Cell Broadcasting Service), 긴급재난문자  (0) 2020.04.29

1. 개요
   - 지능형 CCTV란 보안 카메라가 영상 데이터를 영상분석 솔루션으로 행동과 침입 등을 분석하고 자동으로 이상행위를 탐지해 규칙에 따라 배회, 싸움, 방화 등 특정상황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처리하는 시스템
   - 기존 CCTV 통합관제센터의 사람의 눈으로 놓칠수 있

는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


장비 중심 제어와 관제에서 벗어나 클라우드 IoT 등 다양한 기술과 연계해
상선 운항 상황에서 CCTV, 시설물, 교육, 현장 응급 프로토콜을 1개의 통합 플랫폼으로 관제 하고 음성, 제스처등의 방법을 제어 및 통제실과 현장의 비디오 컨퍼런싱 및 원도우 기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 하는 인프라 서비스


기존과의 비교

 

 가.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 
- CCTV 영상에 출현하는 객체에 대해 분석하여 객체의 침입, 객체의 이동, 객체의 숫자 등
  객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시스템
- CCTV가 모니터링 해주는 덕분에 적은 인원으로도 감시체제를 마련할 수 있고
- 어떠한 환경에서도 영상을 분석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어 매우 넓은 범위에서 모니터링이 가능
  - 저장 보관된 영상 빅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색
- 실시간 분석과 이슈 발생시 알람 발생 및 유관기관에 연락



 나. 클라우드 인프라 시스템

  - 급격히 늘어나는 데이터를 신속히 분석하고 저장할 서버와 스토리지가 필요.
  - 스토리지는 성능, 확장성, 안정성이 필수적임. 
  - 성능 : 고속 데이터에 대한 빠른 억세스 요구 
  - 확장성 : 데이터 증가에 따른 유연한 용량증설 요구.  
  - 안정성 : 콘트롤러를 포함한 주요기능의 이중화 요구.
  - RAID 레벨, 전원 장애시 캐쉬 데 이터보호
  - 언제 어디서는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인프라 구성


다. IP화에 따른 Wall 제어 기술
  - 분활화면의 결합기능
  - 초 고해상도 지원 : 모니터 수량에 따라 비례한 자동 해상도. 
  - 컨텐츠 제어 : 위치, 크기, 투명성, 회전성, 복사, 애니메이션, 화면저장, Text삽입.
  - CCTV에서 HD급 GIS운영 Server 표출까지 요구
  - 근무자별, 감시화면별 분류 및 저장 기능.
  - 여러 위치에서 동일한 화면반복 복사 기능.
  - 200대 이상의 Wall Monitor를 한 대의 모니터처럼 운영. 
  - 안정적이고 끊김없는 완성도 높은 시스템 환경.  

 라. 통합 상황판의 기술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 정보전달력 : 인쇄물 대비 동적효과 및 즉시성 요구, 전달 메시지의 인식높고 명확성 요구
  - 효율성 : 기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의 재사용, 정보의 고급화된 이미지, 정보를 원격지 신속배 포, 영상신호의 무감쇄 요구
  - 유용성 : 이동, 재설치 유용 및 비용절감

 

스마트모니터링기술

 



활용분야

사회 안전
어린이 폭행, 학대 인지 등 안심 어린이집 서비스, 범죄, 독거노인 친구 서비스, 학교 폭력 감지를 통한 범죄 예방 서비스, 자살방지 서비스

 

민간

www.realhub.co.kr/bbs/board.php?bo_table=news_press&wr_id=117&page=2

 

차세대 통합관제센터 구축 서둘러야 [전자신문 11.17] > news_press | (주)리얼허브

네트워크 환경과 디지털 영상 전송 기술 발전으로 폐쇄회로(CC)TV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CCTV 카메라는 마치 대중화된 가전제품처럼 우리 ��

www.realhub.co.kr

 

빅데이터, IoT, GIS/LBS 솔루션을 통해 수집되는 각종 위치정보, 교통정보, CCTV 영상정보를 가공하여 고객이 원하는 현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가시화하여 관제하는 미디어 기반의 통합관제솔루션 입니다

 

www.news.mt.co.kr/mtview.php?no=2019122414430537851

 

LBS(Location Based System) 및 공간정보 기술 기반의 방범용 CCTV 시스템이 ITS(Intelligent Traffic System)와 연계되고, 5G 이동통신 시스템 기술개발이 시작되면서 CCTV 통합관제시스템도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아울러 CCTV 통합관제시스템에 연결 가능한 다양한 클라이언트 기기(스마트미디어 기기)들이 대중화되면서 아날로그 관제시스템을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기반의 영상감지 시스템으로 교체하는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CCTV 통합관제시스템은 점차 지능화를 추구하면서 빠르게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10]. 지능형 영상분석 시스템이 영상보안 분야의 기술 트렌드로 인식되면서 영상보안 제품 및 서비스(솔루션 포함)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국내 CCTV 시스템 기술(설계-제조-설치-운용-사후관리 등)은 글로벌 수준의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DVR 기술력은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지능형 시스템으로의 교체 요구에 대한 수요 니즈를 완전히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변화 감지, 위치 측정, 대상 추적 및 행위분석 등 지능적인 기능들은 구현하고 있으나, 각 지자체의 통합관제센터에 적용하기에는 아직은 성능이 미흡한 상황이다. 국내 CCTV 관련 전후방(전방위: 하드웨어/소프트웨어/솔루션 등, 후방위: 지능형 영상분석/영상보안 등) 기술은 카메라업체, VMS(Video Management Solutions)업체, CCTV_SI(System Integration)업체 등 다양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지능형 CCTV 전후방 기술력은 글로벌 메이저 기업들이 절대 강세를 보이고 있어 대부분 외산 기술을 도입·운용하고 있으며, 일부 국내 기업이 자체 기술력을 확보해가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지능형 영상인식 솔루션이 영상감시 솔루션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어 관련 핵심(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

1. 개요
   -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 동일 셀 내에 있는 모든 단말기에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
   - 양방향 문자 정보 전달 서비스인 SMS와는 상이하게 단방향으로 데이터를 특정 서비스 영역으로 전송
   - CBS로 재난 피해 예방과 대비를 위해 문자나 음성 메시지 등의 긴급재난문자방송이 가능한데, 이를 통해 지진 등 자연재해부터 기상특보, 정전, 화재, 바이러스 유행 등의 다양한 재난 관련 정보를 제공 가능
   - 긴급재난문자에 활용하여 재난 발생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예상될 때, 그 피해를 예방하거나 경감할 수 있음 
2. 구성도
   - CBS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CBS 정보를 생성하는 Cell Broadcast Entity(CBE) 기능과 CBS 정보를 저장하고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연동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CBC(Cell Broadcast Centre) 기능이 필요

3. 채널 구성 방식

4. SMS와 비교

구분 CBS SMS
개념도
전송 대상 point to multi point to point
네트워크 효율성 SMS 대비 부하 용량 절감 개별 송출로 네트워크 부하 증가
전송 시간 신속한 정보 서비스 가능 개별 번호 순차 전송으로 많은 시간 소요
수신여부 확인 불가 가능, 재전송 기능 가능
채널 사용 호출 채널(paging channel) 통화채널(traffic channel)
문자 송출 비용 없음 개별 송출로 고가



5. CBS 응용서비스

  - CBS 응용서비스 형태는 Advertising, Information Services, Carrier Services 등의 형태로 크게 나눌 수 있다.

  5.1 Advertising

      - 특정 지역의 CBS 제공자가 CBS 이용자에게 Sales, Special offers, Extended opening time과 같은 정보를 보내기 위해서 CBS를 이용할 수 있다

  5.2 Information Services

      - 위험 경고, 극장 프로그램, 지역 날씨, 비행기 버스 또는 지연, 관광객 정보, 주차와 교통 정보 등이 있다

  5.3 Carrier Services

      - 사용자에게 사업자의 과금 정보 등과 같은 내용을 통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 가능




반응형

1. 개요
- 디지털 트윈이란 가상의 세계에서 현실을 반영한 모델을 구현하여 실제 세계와 가상의 세계를 실시간으로 통합하는 것
- '생성-전송-취합-분석-이해-실행-절차'로 이루어짐

2. 개념도

3. 디지털 트윈의 역할
- 스마트시티일땐(도시계획,운영,예측)

구분 역할 설명

현실
세계
모형화

시각화 현실 세계를 3D 모형으로 시각화
분석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모니터링 현실세계를 모형으로 모니터링

미래
모델
예측

예측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 모습 예측
대안발굴 문제를 발굴하고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대안 발굴
시뮬레이션 개선 모델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 및 점검
적용,개선 현실세계에 반영, 개선

4. 구성도 및 기술
가. 구성도
- DTS 452는 '18년 국토연구원에서 발표한 DTS(Digital Twin Space) 구축 전략

나. 구축 기술

구분 기술 설명
트윈 구현 기술 모델링 현실의 실제 모델을 랜더링을 통해 가상 세계 구현
AR/VR 실제 물리적 환경과 동시에 가상 세계의 트윈 인식 지원
데이터 통신 기술 IOT 물리적 객체의 실시간 데이터수집, 물리&가상 객체간 양방향전송 촉진
5G 실시간 정보 전송 능력으로 디지털 트윈 반응성 향상
데이터 수집
분석기술
AI 새로운 데이터로부터 학습을 촉진하고 예측 모델 지속적 향상
빅데이터 패턴을 유추 및 유용한 정보 발굴을 위한 양적 데이터 제공
클라우드 센서, 플랫폼등에서 온 데이터를 담아 유연성, 확장성 지원
제어기술 CPS 가상 물리시스템으로 제어 명령 생성


5. 활용

산업 활용
스마트 팩토리 제품출시, 운영개선, 불량감소, 새로운 사업모델 개발
스마트시티 각 분야의 현황 모니터링, 도시계획 및 운영 효율화
건강/의료 환자의 건강 상태 파악, 상태 변화 예측
자동차/항공 제조 현장의 효율화 비용절감, 생산장비 관리. 주행기술 완성도(가상공간 움직임 구현 및 테스트)
에너지 시설 설계 최적화, 관리와 운영 효율화, 소비 최적화

 

6. 구축시 고려사항

디지털 트윈 프레임워크, 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개방 확대
디지털 트윈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민,관 협력 파트너쉽확충
기술간 융합을 통해 혁신 촉발 지원 강화




출처 : http://itwiki.kr/w/DTS_452

불러오는 중입니다...

http://blog.naver.com/dhl_korea/221590199530

반응형

'정보통신 Topic > .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T Thread Protocol  (0) 2022.02.01
IOT matter 표준  (1) 2022.02.01
지능형 CCTV, 통합관제센터  (0) 2020.05.12
스마트팩토리  (1) 2020.03.23
커넥티드카 관련 기술(DSRC, C-V2X, WAVE)  (0) 2020.03.10

1. 커넥티드 카 개요
 - 커넥티드 카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미래형 자동차에 대한 개념
 - 
V2X(Vehicle to X) 기술들을 기반으로 차량과 차량, 차량과 인프라와 통신하며 자율주행 기능과 교통 정보 등을 제공
 - 자동차 네터워크에 외부자가 침입한다는 것은 단순 정보 탈취가 아닌 탑승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만큼 커넥티드카 보안 위협은 반드시 설결되어야 하는 중대한 사안임

2. 주요 보안 취약점

3. 보안 대응 방안

4. 동향
- 스마트카의 일부 전장 시스템에 대한 사이버 보안 침해사고가 발생할 경우 스마트교통 서비스 전반의 보안위협으로 확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의 생명과 안전에 직접적인 피해를 야기시킴
- 이에따라 스마트교통에 대한 보안인식을 바탕으로 미국, 유럽, 일본 등 각 나라에서 스마트카 및 교통에 관련된 보안정책과 요구사항들을 제시하고 있음
- 스마트교통 산업에 필요한 기본적인 보안항목 및 대응방안을 준수하고 스마트교통과 관련된 제품 및 서비스를 설계·제조하는 IT업체 및 운용업체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보안인식 제고와 보안 내재화가 요구됨

 

201805290958171071.pdf
4.25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