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 정부에서는 '데이터 댐' 구축을 목표로 다양한 데이터 기반 정책을 추진 중임

- 대규모의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하고 민간에 개방함으로써 인공지능 생태계 확산 추진

[본문]

1.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의 개념

 - 머신러닝, 딥러닝 등 인공지능 모델 학습을 위해 활용되는 데이터

2.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과정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과정[출처: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v2.0]

3. 구축 과정별 특징

구축과정 설명
임무정의 문제 정의, 학습용 데이터 정의하고 설계
데이터 수집 현실 세계에서 생성 또는 생성된 '원시 데이터' 확보
데이터 정제 데이터 형식 크기 맞춤, 중복제거, 개인정보 비식별처리를 통한 '원천 데이터' 확보
데이터 라벨링 기능과 목적에 부합하는 라벨을 원천 데이터에 부착
데이터 학습 학습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학습 시키면서 품질 이슈가 발생하는지를 확인

4. 요소기술

요소기술 설명
인공지능 모델 - 데이터 학습 검증을 위한 모델
개인정보 비식별화 - 데이터 정제를 위한 비식별화 기술 (K-익명성)
JSON, XML - 라벨 데이터 포멧 

 

5.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와 빅데이터의 비교

구분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빅데이터
구축목적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 목적 인사이트 도출
사용기술 예측, 분류, 군집화, 차원축소 통계적 분석, 텍스트 마이닝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 중심(소리, 영상, 이미지, 자연어) 텍스트 데이터, 정형 데이터
데이터구조 원천데이터와 라벨링 데이터 Pair 키와 값으로 구성
데이터 구축절차 임무정의 -> 수집 -> 정제 -> 라벨링 -> 검수 -> 학습 -> 저장 수집 -> 정제 -> 변환 -> 저장
데이터 저장방식 파일형태(원천 데이터 + JSON) No SQL DBMS에 저장

※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는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에 쓰이는 데이터로 한정

6. 동향

- 소외계층 일자리를 위한 크라우드 소싱 방식으로 데이터 라벨링 작업을 수행

- NIA에서는 데이터 품질을 위해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 가이드라인 v2.0" 지침 마련

 

출처 :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품질관리 가이드라인 v2.0

[끝]

 

[용어]

* 원시데이터 : 기계학습을 목적으로 수집 단계에서 수집 또는 생성한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의 데이터

* 원천데이터 : 원시데이터를 라벨링 작업에 투입하기 위해 필요한 정제 작업을 수행한 데이터

* 라벨링데이터 : 원천데이터에 부여한 ‘참값’, 파일형식, 해상도 등의 데이터 속성과 설명, 주석 등이 포함된 ‘어노테이션’의 집합

* 크라우드소싱 : 다수의 작업자가 단기간에 대량의 데이터 수집 및 라벨링을 하는 방식.

220308_제1권 품질관리 안내서_(고화질).pdf
6.49MB

반응형

'정보통신 Topic > .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접촉식(Tagless) 대중교통 요금 결제 시스템  (0) 2022.08.04
POTN(Packet Optical Transport Network)  (0) 2022.03.18
Proxy Server  (0) 2022.03.08
802.11 be EHT(Wi-Fi 7)  (0) 2022.03.06
IP-MPLS와 MPLS-TP  (0) 2022.03.01

[배경]

인기있는 Load Balancers [출처: loggly 홈페이지]

- 보안상의 이유로 직접 통신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이 필요

- 여러 클라이언트에서 동일한 내용을 중복 요청시 캐쉬를 이용하여 빠르게 제공 할 필요성 증대

[본문]

1. 개념

 - 보안상 이유로 직접 통신 할 수 없는 두 점 사이에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

개념 설명
Forward Proxy - 클라이언트 호스트들과 원격 리소스 사이에 위치시키는 방법
Reverse Proxy - 인트라넷 리소스 또는 인트라넷 리소스 앞에 위치시키는 방법

2. 개념도

Forward Proxy Reverse Proxy
3. 특징
구분
설명
Forward Proxy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를 원격 리소스로부터 가져와서 돌려주는 역할
-Cache 기능 : 속도향상. 네트워크 사용비 감소. 대역폭 감소
-IP 우회 : 서버측에 클라이언트 정보를 숨길 수 있음
-제한 : 정해진 사이트에만 연결할 수 있는 웹 사용 환경 제한 가능
-사용대상 : 기업 사내망
Reverse Proxy
-리버스 프록시가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아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역할
-보안기능 : 서버에 직접 접근 차단, DMZ 영역에 구축
-로드밸런싱 : 리버스 프록시 뒤에 WAS(Web Application Server)를 두어, 사용자 요청 분산
-신뢰성 증대 : Cluster구성시 가용성 형상, 유연성 증대
-사용대상 : Apache Web Server. Nginx
 
4. Forward Proxy와 Reverse Proxy의 비교
구분 Forward Proxy Reverse Proxy
End point 실제 서버 도메인 프록시 서버의 도메인
숨김대상 클라이언트 서버
로드벨런싱 미지원 지원
역할 캐시서버 역할 부하분산, 가용성
종류 Web Proxy, Http Proxy Nginx, Apache HAProxy

5. 고려사항

- 소프트웨어 프록시인 HAProxy도 여러 환경에서 사용중

- 로드 벨런스로서 NGINX, HAProxy가 많이 사용됨

반응형

'정보통신 Topic > .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TN(Packet Optical Transport Network)  (0) 2022.03.18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AI Dataset)  (0) 2022.03.15
802.11 be EHT(Wi-Fi 7)  (0) 2022.03.06
IP-MPLS와 MPLS-TP  (0) 2022.03.01
Intent-Based Networking(IBN)  (0) 2022.02.23

[Wi-Fi Standards Evolution]

Wi-Fi 기술의 진화 [출처 : Qualcomm 홈페이지]

[배경]

- XR, Metaverse, 에지 컴퓨팅등에서 저지연, 고속 기능이 필요함
- 6GHz 대역에서 새로운 스펙트럼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기술의 부재.

- 기존 IEEE 802.11ad 표준에서 정의한 멀티 링크 운용 방식은 단일 링크에서만 전송 되어 오버헤드가 발생.

- 2.4GHz, 5GHz, 6GHz 대역 모두를 사용하여 전송 용량을 증대 필요

 

[본문]

1. 개념

- 저지연성 (낮은 지연시간)과 광활한 전송 속도를 구현하는 차세대 Wi-Fi 기술 (Extremely High Throughput)

2. 개념도 

Wi-Fi 7 [출처 : teranews.net]

3. 요소기술
구분 개념도 설명
AML
(Alternating
Multi-Link)
-혼잡도가 낮은 대역을 자동으로 선택하고, 해당 채널을 사용
-링크 혼잡 방지 및 대기 시간 절감
HBSML
(High Band
Simultaneous
Multi-Link)

-모든 대역을 동시에 사용해, 데이터를 모든 가용 주파수로 전송
-2.4GHz는 느린 IoT장치에 할당
-5GHz6GHz 주파수에 걸쳐 4개 스트림 결합
PP
(Preamble
Puncturing)
-간섭 스펙트럼 차단하는 동시에 연속 채널을 가능하게 함
-부분적으로 간섭되는 채널에 연결 시도시 접속 포기 및 대체 채널을 찾아 연결
*
HBS ML (High Band Simultaneous Multi-Link)
Enhanced
Modulation
-1024 QAM에서 4096 QAM 진화
-아날로그 신호로 전달되는 비트의 수를 높여 처리량을 효과적으로 높임
※ 그림 출처 : Qualcomm 홈페이지

 

4. 특징

구분 설명
채널 대역폭 확장 - 160MHz2배인 320MHz
최소 지연 - AR/VR에 필요한 최소 지연 보장
4배 증가된 속도 - Wi-Fi 6e보다 4배 증가된 40Gbps
 
5. Wi-Fi 6/6E와 Wi-Fi 7의 비교
구분 Wi-Fi 6/6E (802.11ax) Wi-Fi 7 (802.11 be)
운용 밴드 2.4GHz, 5GHz, 6GHz
MU-MIMO Uplink/Downlink MU-MIMO
변조(Modulation) 1024 QAM 4096 QAM
최대속도 10Gbps 40Gbps
대역폭 최대 160MHz 최대 320MHz
Multi-Link 미지원 지원
Enhanced OFDMA 미지원 Preamble puncturing, Multi-RU

 

6. 동향

- 미디어텍에서는 22.02Wi-Fi 7 칩으로 시연에 성공

- 5G 백홀로 사용되면, 이동통신사 트래픽 분산 등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기반 마련

https://it.donga.com/101688/

 

미디어텍의 Wi-Fi 7 청사진 ‘속도·안정성↑, 메타버스와 자율차 마중물’

[IT동아 차주경 기자] 대만 반도체 기업 미디어텍이 무선 인터넷 기술 Wi-Fi의 최신 버전, Wi-Fi 7(IEEE 802.11be)의 성능과 특성을 라이브 데모로 공개했다.

it.donga.com

 

<WiFI 7 - Multi-link feature>

<intel Wi-Fi 7 소개자료>

wi-fi-7-and-beyond.pdf
1.33MB

반응형

'정보통신 Topic > .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AI Dataset)  (0) 2022.03.15
Proxy Server  (0) 2022.03.08
IP-MPLS와 MPLS-TP  (0) 2022.03.01
Intent-Based Networking(IBN)  (0) 2022.02.23
라우팅 이중화 및 부하분산(VRRP, GLBP)  (0) 2022.02.15

[MPLS란]

MPLS 구성도

-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 IETF에서 표준화한, 라벨을 활용하여 다양한 프로토콜을 고속 전송가능한 기술

[배경]

-  기존 IP 라우팅에서는 매 패킷마다 헤더 검사, 라우팅 테이블 참조를 반복으로 수행하며, 비 연결지향적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인해 고속화에 어려움이 큼
- MPLS는 LER(Label Edge Router)에서만 라우팅을 수행하고 중간 LSR(Label Switching Router)에서는 길이가 짧은 라벨(Label)을 이용하여 연결 지향적 경로를 설정하여 고속화를 수행
- 철도 ALL-IP 기반 통합네트워크 구축시에 외산장비 업계 위주인 IP-MPLS, 국산장비 업계는 MPLS-TP방식 선택으로 신경전이 가열됨
 
[본문]

 

1. 개념

IP-MPLS - 라우터내 Control Plane이 존재하여, 모든 라우터가 토폴로지를 수집/처리 하는 방법
MPLS-TP - 라우터내 Control Plane을 제거하여, NMS만이 토폴로지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2. 개념도

IP-MPLS MPLS-TP

<LTE-R에서의 RU-EPC 사이에서의 구성도>

IP-MPLS MPLS-TP

 

3. 특징
IP-MPLS MPLS-TP
- 라우터 내 Control Plane 존재(L3 스위칭)
- 모든 라우터가 라우팅 프로토콜(OSPF, BGP)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수집하고 처리함
- IP-MPLS 장비간에 Control 메세지를 주고 받음
- 라우터 내 동적 요소로 인한 높은 CPU 부하 존재
- 다른망과 연결시 추가장비 불 필요
- 라우터내 Control Plane 제거(L2 스위칭)
- NMS가 모든 장비의 주 경로와 절체 경로를 사전에 Provisioning 함
- MPLS-TP 장비간에 Control 메세지를 주고 받지 않음
- 망내 장비에서 동적 요소를 없애 망 안정성 제공
- 다른 망과 연결시 추가 장비 필요
 
4. IP-MPLS와 MPLS-TP의 비교
구분 IP-MPLS MPLS-TP
스위칭 MPLS 기반 스위칭 MPLS 기반 스위칭
CP 존재 라우터 내 존재 없음
경로 판단 개별 라우터 NMS
라우터 별 CPU 부하 개별 처리로 다소 높음 보통
대표벤더 외산업체 국내업체

 

5. 동향

- 부산도시철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철도에서 IP-MPLS를 주 전송설비로 채택해 운용중

- 보안과 유지보수/ 기술개발을 위해 MPLS-TP 적용도 향후 필요

도시철도 무선통신망 구축 현황&nbsp; &nbsp; &nbsp;출처 : 국토매일

 

[관련 내용 신문기사]

1. [이슈] 서울지하철 전송망 외산 독식..100억짜리 토종 MPLS-TP 기술 '무용지물'

https://www.koit.co.kr/news/articleView.html?idxno=73230 

 

[이슈]서울지하철 전송망 외산 독식…100억짜리 토종 MPLS-TP 기술 ‘무용지물’ - 정보통신신문

외산 장비의 독식 우려가 높아가던 서울 지하철 전송망이 마지막 6호선 광대역통신망 구축 사전규격으로 외산 기술인 ‘IP-MPLS’가 제안되면서 사실상 외국기업 손에 넘어갔다. 공공분야에서 ...

www.koit.co.kr

 

2. 철도 IP 통합네트워크 두고 국산-외산 신경전

https://www.etnews.com/20210409000143

 

철도 IP 통합네트워크 두고 국산-외산 신경전

철도 통신망을 놓고 국산과 외산 업체간 신경전이 가열되고 있다. 멀티프로토콜 레벨스위치(MPLS) 규격 방식을 두고 벌어진 국산과 외산 장비의 신경전이 철도 ALL-IP 기반 통합네트워크 구축으로

www.etnews.com

 

[끝]

반응형

'정보통신 Topic > .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xy Server  (0) 2022.03.08
802.11 be EHT(Wi-Fi 7)  (0) 2022.03.06
Intent-Based Networking(IBN)  (0) 2022.02.23
라우팅 이중화 및 부하분산(VRRP, GLBP)  (0) 2022.02.15
쿠버네티스(Kubernetes / k8s)  (0) 2022.02.05

[배경]

5G/Iot 서비스 증가에 따라, 데이터양과 디바이스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네트워크 관리 및 운용에 있어 높은 복잡성과 어려움을 초래함

-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네트워크 자동화가 필요함

- SDN 제어기 자체가 DDoS 등의 플러딩 기반 보안 공격에 노출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내 SDN 스위치를 공격 패킷으로부터 즉각적으로 그리고 동적으로 제어하기 어려움

- 오픈플로우(OpenFlow) 기반의 SDN 스위치의 데이터평면으로 보안 위협 패킷이 유입될 경우 즉각적인 대응 불가.


[본문]
1. 개념
사용자(비즈니스) 의도에 따라 스스로 학습하고 적응하며 자동화할 뿐 아니라 보안위협까지도 방어해 보호할 수 있는 직관적인 네트워크
2. 개념도

Intent-based Networking Model [출처: Cisco 홈페이지]

 

인텐트 기반 네트워크 [출처: etnews.com]


3. Intent-based Networking 모델

구분 설명
Translation - 운영자의 의도에서 정책 및 프로세스 파악
Activation - 자동화를 이용하여 정책을 물리적 및 가상 네트워크 인프라로 적용
Assurance -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을 통해 지속적으로 검증

4. 요소기술

구분 설명
SDN -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 대한 중앙 집중적인 네트워크 제어를 가능
*P4
- 스위치/라우터 포워딩 테이블 수정, * 새롭게 정의한 패킷 헤더 처리, 로드 밸런싱, 캐슁들을 스위치에 직접 구현 가능한 기술
AI
- 인공지능/기계학습을 활용한 네트워크 자동화 기술
Intent 처리 -선언적(declarative)으로 명시된 데이터로 네트워크 관리/운용 설정값을 인지

* open flow 한계점 : 새롭게 정의한 패킷 헤더 처리 , 로드 밸런싱, 캐슁들을 스위치에 직접 등이 구현 제한됨
* P4(Programming Protocol-independent Packet Processor)

P4 [출처: P4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를 통한 정책 기반 인 네트워크 보안 관리 방법 논문]

4. SDN와 Intend-Based 비교

구분 SDN Intend-Based
Translation to policy 제한 가능
Input Intent 제한 가능
Automate network configurations 가능 가능
Orchestrate Policies 가능 가능
Continuous verification 제한 가능
Corrective actions 제한 가능

5. 동향
- Cisco DNA(Data Network Architecture) / Juniper Self-Driving Network
- 아모레 퍼시픽 신본사에 IBN 도입으로 미래형 네트워크 인프라 완비

amorepacific_casestudy.pdf
1.29MB


[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