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 COVID-19 대유행에 대응한 대중교통체계 일환으로 비접촉식 대중교통 요금 결제 시스템이 도입 중임.

- 경기도의 Tagless 버스가 시범사업 중이며 서울시 지하철의 비접촉식 게이트가 연구중임

[본문]

1. 비접촉식(Tagless) 대중교통 요금 결제 시스템의 개념

 - 별도의 태그 없이 결제가 가능한 대중교통 결제 시스템

2. 개념도

비콘과 블루투스의 서비스 동적 원리 [출처 BLE기반 근거리 데이터 통신기 술로 주목 데이터넷(2014,12,19)]
Tagless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 구성 [출처 로카모빌리티(주) ]

3. 요소기술

구분 설명
비콘 근거리 내 무선 신호 감지 장치 (방사형 비콘과 지향성 비콘 동시사용)
블루투스 4.0 BT4.0 LE(Low Energy)의 저전력 무선 연결 기술
ID 식별 스마트폰을 통한 개인 ID 식별 기술

4. 특징

구분 설명
승하차 시간 단축 버스 / 지하철 승하차 시간 단축
외부 신호 감지 문제 해결 방사형 비콘과 지향성 비콘을 동시에 사용
사고예방 두 손이 자유로워 손잡이를 잡을 수 있어 사고 예방

5. 비교표

구분 v2.0 EDR(Enhanced Rate) v4.0 LE(Low Energy)
사용 주파수 2.4GHz ISM밴드 2.4GHz ISM밴드
전송속도 3Mbps 1Mbps
변조방식 8DPSK GFSK
연결토폴로지 Point to Point(1:1) Point to Point (1:1)
Broadcast (1:N)
Mesh (N:N)
최대 동시 연결 수 7개 약 6만개

6. 동향

- 경기도내 버스 시범사업(Tagless)이 2020년부터 수행중이며, 서울시에서는 2022년부터 지하철 시범사업후 전면 확대 예정

- 새로운 Tagless 시스템 도입시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 고려 필요

 

우이신설선 비접촉식 게이트[출처 티머니] 및 서울교통공사 실증장면[출처 서울교통공사]

 

[끝]

 

 

출처 : 경기연구원 "비접촉식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 도입 및 확대방안"

F2021-38.pdf
19.92MB

반응형

'정보통신 Topic > .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스택 옵저버빌리티(FSO)  (0) 2023.07.08
그린데이터센터 인증제도  (0) 2023.01.24
POTN(Packet Optical Transport Network)  (0) 2022.03.18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AI Dataset)  (0) 2022.03.15
Proxy Server  (0) 2022.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