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Fi Standards Evolution]

Wi-Fi 기술의 진화 [출처 : Qualcomm 홈페이지]

[배경]

- XR, Metaverse, 에지 컴퓨팅등에서 저지연, 고속 기능이 필요함
- 6GHz 대역에서 새로운 스펙트럼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기술의 부재.

- 기존 IEEE 802.11ad 표준에서 정의한 멀티 링크 운용 방식은 단일 링크에서만 전송 되어 오버헤드가 발생.

- 2.4GHz, 5GHz, 6GHz 대역 모두를 사용하여 전송 용량을 증대 필요

 

[본문]

1. 개념

- 저지연성 (낮은 지연시간)과 광활한 전송 속도를 구현하는 차세대 Wi-Fi 기술 (Extremely High Throughput)

2. 개념도 

Wi-Fi 7 [출처 : teranews.net]

3. 요소기술
구분 개념도 설명
AML
(Alternating
Multi-Link)
-혼잡도가 낮은 대역을 자동으로 선택하고, 해당 채널을 사용
-링크 혼잡 방지 및 대기 시간 절감
HBSML
(High Band
Simultaneous
Multi-Link)

-모든 대역을 동시에 사용해, 데이터를 모든 가용 주파수로 전송
-2.4GHz는 느린 IoT장치에 할당
-5GHz6GHz 주파수에 걸쳐 4개 스트림 결합
PP
(Preamble
Puncturing)
-간섭 스펙트럼 차단하는 동시에 연속 채널을 가능하게 함
-부분적으로 간섭되는 채널에 연결 시도시 접속 포기 및 대체 채널을 찾아 연결
*
HBS ML (High Band Simultaneous Multi-Link)
Enhanced
Modulation
-1024 QAM에서 4096 QAM 진화
-아날로그 신호로 전달되는 비트의 수를 높여 처리량을 효과적으로 높임
※ 그림 출처 : Qualcomm 홈페이지

 

4. 특징

구분 설명
채널 대역폭 확장 - 160MHz2배인 320MHz
최소 지연 - AR/VR에 필요한 최소 지연 보장
4배 증가된 속도 - Wi-Fi 6e보다 4배 증가된 40Gbps
 
5. Wi-Fi 6/6E와 Wi-Fi 7의 비교
구분 Wi-Fi 6/6E (802.11ax) Wi-Fi 7 (802.11 be)
운용 밴드 2.4GHz, 5GHz, 6GHz
MU-MIMO Uplink/Downlink MU-MIMO
변조(Modulation) 1024 QAM 4096 QAM
최대속도 10Gbps 40Gbps
대역폭 최대 160MHz 최대 320MHz
Multi-Link 미지원 지원
Enhanced OFDMA 미지원 Preamble puncturing, Multi-RU

 

6. 동향

- 미디어텍에서는 22.02Wi-Fi 7 칩으로 시연에 성공

- 5G 백홀로 사용되면, 이동통신사 트래픽 분산 등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기반 마련

https://it.donga.com/101688/

 

미디어텍의 Wi-Fi 7 청사진 ‘속도·안정성↑, 메타버스와 자율차 마중물’

[IT동아 차주경 기자] 대만 반도체 기업 미디어텍이 무선 인터넷 기술 Wi-Fi의 최신 버전, Wi-Fi 7(IEEE 802.11be)의 성능과 특성을 라이브 데모로 공개했다.

it.donga.com

 

<WiFI 7 - Multi-link feature>

<intel Wi-Fi 7 소개자료>

wi-fi-7-and-beyond.pdf
1.33MB

반응형

'정보통신 Topic > .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AI Dataset)  (0) 2022.03.15
Proxy Server  (0) 2022.03.08
IP-MPLS와 MPLS-TP  (0) 2022.03.01
Intent-Based Networking(IBN)  (0) 2022.02.23
라우팅 이중화 및 부하분산(VRRP, GLBP)  (0) 2022.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