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5G/Iot 서비스 증가에 따라, 데이터양과 디바이스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네트워크 관리 및 운용에 있어 높은 복잡성과 어려움을 초래함

-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네트워크 자동화가 필요함

- SDN 제어기 자체가 DDoS 등의 플러딩 기반 보안 공격에 노출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내 SDN 스위치를 공격 패킷으로부터 즉각적으로 그리고 동적으로 제어하기 어려움

- 오픈플로우(OpenFlow) 기반의 SDN 스위치의 데이터평면으로 보안 위협 패킷이 유입될 경우 즉각적인 대응 불가.


[본문]
1. 개념
사용자(비즈니스) 의도에 따라 스스로 학습하고 적응하며 자동화할 뿐 아니라 보안위협까지도 방어해 보호할 수 있는 직관적인 네트워크
2. 개념도

Intent-based Networking Model [출처: Cisco 홈페이지]

 

인텐트 기반 네트워크 [출처: etnews.com]


3. Intent-based Networking 모델

구분 설명
Translation - 운영자의 의도에서 정책 및 프로세스 파악
Activation - 자동화를 이용하여 정책을 물리적 및 가상 네트워크 인프라로 적용
Assurance -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을 통해 지속적으로 검증

4. 요소기술

구분 설명
SDN -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 대한 중앙 집중적인 네트워크 제어를 가능
*P4
- 스위치/라우터 포워딩 테이블 수정, * 새롭게 정의한 패킷 헤더 처리, 로드 밸런싱, 캐슁들을 스위치에 직접 구현 가능한 기술
AI
- 인공지능/기계학습을 활용한 네트워크 자동화 기술
Intent 처리 -선언적(declarative)으로 명시된 데이터로 네트워크 관리/운용 설정값을 인지

* open flow 한계점 : 새롭게 정의한 패킷 헤더 처리 , 로드 밸런싱, 캐슁들을 스위치에 직접 등이 구현 제한됨
* P4(Programming Protocol-independent Packet Processor)

P4 [출처: P4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를 통한 정책 기반 인 네트워크 보안 관리 방법 논문]

4. SDN와 Intend-Based 비교

구분 SDN Intend-Based
Translation to policy 제한 가능
Input Intent 제한 가능
Automate network configurations 가능 가능
Orchestrate Policies 가능 가능
Continuous verification 제한 가능
Corrective actions 제한 가능

5. 동향
- Cisco DNA(Data Network Architecture) / Juniper Self-Driving Network
- 아모레 퍼시픽 신본사에 IBN 도입으로 미래형 네트워크 인프라 완비

amorepacific_casestudy.pdf
1.29MB


[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