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계층별 다양한 서비스 [출처: https://academy.broadcom.com/blog]

 

재택 근무 환경에서의 관계도[출처 : Cisco 2021 보고서]

[배경]
- 클라우드 기반, 마이크로서비스, 컨터이너, 서버리스 기술을 도입하는 곳이 많아져, 기술의 복잡도가 증가함

- 급증하는 IT 복잡성을 관리하는 동시에, 시스템을 최고성능을 유지하는 기술이 필요

[본문]
1. 풀스택 옵저버빌리티의 개념
- IT 환경에 분산된 각 기술 스택 구성 요소의 실시간 상태를 관찰하여 오류 발생원인을 진단하는 기술
2. 개념도

풀스택 옵저버빌리티의 모니터링 관계도[출처 : Cisco https://www.youtube.com/watch?v=-ws4dk753x8]

3. 요소기술

구분설명
메트릭(Metric)인프라, 미들웨어, 서비스 상의 CPU나 메모리 사용량, 네트워크 트래픽과 같은 정량적 성능 정보
트레이스(Trace)애플리케이션 전반의 서비스 호출 순서와 응답 시간 등 동작 정보
로그(Log)사용자 작업 및 오류를 포함한 시스템 활동 기록
이벤트(Event)특정 사건 또는 활동에 대한 개별 발생 또는 알림
머신 러닝AI 분석 기반 이상 탐지 및 예측 기능

4. 특징

구분설명
가시화전체 IT 환경에 대한 가시성 제공
신속한 대처전체 스택에 대한 광범위한 모니터링을 통한 신속한 인지 및 대처
실행 가능한 정보 제공 최적화을 위한 실행 가능한 정보 제공

5. 비교표

구분FSO(Full-Stack Observability)APM(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
모니터링 범위인프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및 사용자 경험을 포함한 전체 소프트웨어 스택을 모니터링개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소스메트릭, 로그, 추적 및 이벤트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및 트랜잭션 응답 시간
목적전체 소프트웨어 스택에 대해 더 광범위하고 전체론적인 최적화개별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최적화
가시성제공제공
시스템간 종속성제공미제공

6. 동향
- Cisco에서는 "Thousand Eyes"를 통해서 예측 분석을 확대하고 있음
[끝]

[참고]

Cisco의 FSO[출처 : Cisc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