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에 따른 데이터센터 설계 시공관리 중요성 증대
- 탄소제로 실현을 위해 데이터센터의 운영효율성 향상 및 안전성 개선을 위한 지침 및 표준 필요
[본문]
1. 그린 데이터센터 인증제 개념

 - 데이터센터 그린화를 위한 근거, 방법 및 유인책을 제공하고 에너지효율적 데이터센터를 공인하는 제도

2. 그린 데이터센터 개념도

그린 데이터센터 [출처: https://newsroom.koscom.co.kr/29211]

 
3. 그린데이터센터 인증 평가항목

구분평가항목
인프라효율성 지표(PUE)- ISO/IEC 30134-2(PUE)를 준용
- PUE = Total Facility Power(총전력) / IT Equipment Power(IT장비전력)
그린활동 지표- 정책 및 운영분야, 시설분야로 구분된 정성적 항목

4. 그린데이터센터의 IT 부문 추진 영역

구분설명
통합 및 가상화- IT 시스템의 효율 향상 및 자원 활용도 증대
자원공유- 자원의 불필요한 중복을 줄여 관리효율 증대
개별 IT 자원의 고효율화- 개별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 증대 및 그린 기술 적용
재활용- 자원의 적절한 재활용 및 폐기를 통한 Co2 발생 감소

5. 비교표

구분인증전인증후
에너지 효율보통효율 증대
PUE2이상1이상
재생에너지선택사용의무사용
탄소배출보통절감
지속가능성보통높음

6. 동향 및 고려사항

- 정부에서는 K-택소노미에 근거한 강화된 환경규제 시행으로 친환경 데이터센터 전환 가속화
- TIA-942에 근거한 질적 수준 평가와 함께 전문가에 의한 설계 및 시공 관리와 동시에 수행 필요.

[끝]

[참고]

1. TIA-942에서 분류하는 데이터센터 품질 4단계

구분Tier ⅠTier ⅡTier ⅢTier Ⅳ
가용성(%)99.67199.74999.98299.995
연간 장애발생시간28.822.01.60.8
ComponentNN+1N+12N 또는
2N+1
Delivery PathsOne onlyOne onlyOne Active
One Passive
Two Active
Single Points FailureYesYesYesNo
Concurrently MaintainableNoComponent onlyYesYes

[출처 : Uptime Institue의 Tier Level]
[참조기사 및 관련자료]
http://www.kharn.kr/news/article.html?no=16291

데이터센터 효율 표준화, ‘그린데이터센터인증’ 선두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됨에 따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많은 산업들이 발전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는 실현에 4~5년은 걸릴 것이라고 예측됐던 비대면산업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www.kharn.kr

http://www.koi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006

“데이터센터 설계·시공·관리에 ICT 전문가 참여해야” - 정보통신신문

[정보통신신문=서유덕기자] SK C&C 판교 데이터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에서 일어난 화재 사고로 카카오 서비스 중단 사태가 발생한 지 보름여가 지났다. 정부와 업계는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은

www.koit.co.kr

TTAK.KO-09
2.56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