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미 제품을 SmartThings에 붙여서 자동화를 해보고자 했는데

기존에는 Token을 추출하는 법이 번거롭기도 하고 

샤오미 게이트웨이 없이 직접 SmartThing에 붙여서 쓰는 구조라 뭔가 다른 Device가 필요할 것 같아 

샤오미 선풍기를 안 붙여서 개별로 쓰고 있었는데 네이버 카페의 "아기나무집"님이 만들어주신

Mi Connector를 이용하여 손쉽게 붙일 수 있어서 과정을 공유하고자 한다.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Docker에 Mi Connector 설치

2. Smartthings에 Smartapps / Device Handlers 설치

3. SmartThings 어플 설정

4. Mi Connector 설정

5. 연결 완료

 

[1. docker에 Mi Connector 설치]

 Docker에서 mi-connector를 찾고 fison67/mi-connect를 우클릭하고 다운로드를 눌러서 버전을 선택한다.

현재 0.0.3버전이 최신버전인데 이 버전으로 다운한다.

다운로드가 다 되면 이미지 텝으로 가서 다운받은 mi-connector:0.0.3 설정을 시작한다.

해당 이미지를 클릭하고 실행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고 "고급설정"을 클릭한다.

고급설정에서 "자동 재시작 활성화"를 클릭해주고

 

나스에서 Mi Connector 설정을 저장 할 임의의 폴더를 만들어주고

저는 docker 밑에 mi-connector폴더를 만들었습니다 (docker/mi-connector)

 

고급설정에서 볼륨텝에서 해당 폴더를 추가해준다.

고급설정 -> 볼륨 -> 폴더추가


마운트경로는 /config 로 적어준다.

 

네트워크에서 "Docker 호스트와 동일한 네트워크 사용"를 클릭해주고

"적용"을 누르고 나온 후에 "다음"을 클릭하면

요약된 정보를 보여주고 "적용"을 클릭하면 Docker가 시작된다

 시작된 docker는 "비디오 형식" 텝에서 볼 수 있다.

 

도커가 잘 설치되었는지는

크롬에서 아래 아이피로 들어가서 MI-Connector 화면이 뜨면 된다.

주소는 "NAS장비IP:30000"

 

아직 SmartThings 설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장비가 등록되지는 않지만 

위의 화면이 뜬다면 docket에서 mi-connect를 제대로 설치한 것이다.

 

[2. SmartThings IDE에서 SmartApps와 Deviece Handler 설치]

  Device Handler 위치

  https://github.com/fison67/mi_connector/tree/master/devicetypes/fison67

  Smartapps 위치

  https://github.com/fison67/mi_connector/tree/master/smartapps/fison67/mi-connector.src

 

설치법은 아래 글를 참조해서

http://investigate.tistory.com/21?category=734519

그리고 꼭 SmartApp의 oauth 설정을 빼먹지 말고 하자.

 

[3. SmartThings 어플 설정]

설치가 완료 되었으면

SmartThings의 Automation의 SmartApps로 가자

제일 하단에 + Add a SmartApp을 클릭하고 My Apps를 클릭하자


Mi Connect를 선택하고

설정이 필요한 항목을 입력하자.

Server Address는 NAS 장비의 IP를 넣어주자.

언어는 영어와 한국어중에 선택할 수 있다.

External network address의 경우는 그래프를 그릴때 필요한 부분이다.(아직은 공란으로 비우자)

save를 클릭하면 Mi Connect가 설치 완료 되었다.

 


[4. Mi Connector 설정]

Mi Connect 관리 화면은 2가지 방법으로 접속 가능하다.

1. http://NAS IP :30000

2.  어플의 Automation -> SmartApps -> Mi-Connector -> Management

 

Mi Connector Management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1. 메인 Dashboard

   Mi Connector가 등록한 Xiaomi Deviece를 볼 수 있는데

   Mode가 자동이고 SmartApp과 Deviece 핸들러를 설치해놨으면 자동으로 장비에 추가 되는 걸 볼 수 있다.

 

2. Manage Device 화면

 2.1 Device List

      수동으로 Device를 등록할 수 있는 화면이다. 자동으로 등록된 Device도 보인다.

     수동으로 등록하려면 Add를 누르고 추출한 토큰과 IP를 입력하면 된다.


 2.2 Search Device

   

 2.3 Add Device[ST] 

     SmartThings에 등록이 안된 장비의 경우는 선택 후에 Register를 누르면 등록이 된다.

2.4 Del Device[ST]

   SmartThings에 등록된 장비를 수동으로 삭제 할 수 있다.



3.  Settings 화면

  Mi Connector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Xiaomi Settings]

  - Mode : Mode를 설정 (자동/ 수동)

  - Limit time of searching device : Device를 찾을 최대 시간을 설정 (msec)

  - Reset Time of motion sensor : 모션 센서의 리셋 시간을 설정 ( 0: 리셋 X)

  - Polling Time : 

 

[SmartThings Settings]

  아래 항목의 경우는 SmartThings 어플 설정시 자동으로 입력되므로 

  Test 버튼을 통해 제대로 동작하는지만 점검하면 된다

[DB Setting]


[5. 연결완료]

샤오미 선풍기가 자동으로 연결되었는데 SmartThings 어플로도 잘 동작한다.

구글 홈으로도 켜고 끄는게 되니 편해졌다. 

자동화도 해놔서 집에 들어와서 온도가 높으면 자동으로도 켜진다


 

반응형